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일상정보

24절기ㅣ24절기 양력ㅣ24절기 뜻ㅣ여름절기ㅣ입하ㅣ소만ㅣ망중ㅣ하지ㅣ소서ㅣ대서ㅣ24절기 달력 쉽게 알아보기

by 뉴쿱스 2023. 12. 24.
반응형

 

 24절기는 사계절에 따라 봄절기, 여름절기, 가을절기, 겨울절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중 여름절기에는 입하, 소만, 망중, 하지, 소서, 대서가 해당됩니다. 각 절기별 특징과 풍속들에 대한 정보는 아래에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24절기ㅣ24절기 양력ㅣ24절기 뜻ㅣ여름절기ㅣ입하ㅣ소만ㅣ망중ㅣ하지ㅣ소서ㅣ대서ㅣ24절기 달력
24절기 24절기 양력 24절기 뜻 여름절기 입하 소만 망중 하지 소서 대서 24절기 달력

 

입하(立夏): 여름의 시작

 

 24절기 중 일곱 번째 절기. 양력으로 5월 6일 무렵이고 음력으로 4월에 들었으며, 태양의 황경이 45도에 이르렀을 때이다. 입하는 곡우와 소만 사이에 들어 여름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절후이다. 이때가 되면 봄은 완전히 퇴색하고 산과 들에는 신록이 일기 시작하며 개구리 우는 소리가 들린다. '보리가 익을 무렵의 서늘한 날씨'라는 뜻으로 맥량(麥凉), 맥추(麥秋)라고도 하며, '초여름'이라는 뜻으로 맹하, 초하, 괴하, 유하라고도 부른다. 입하와 관련된 속담으로는 '입하 바람에 씨나락 몰린다.', '입하 일진이 털 있는 짐승날이면 그해 목화가 풍년 든다.', '입하물에 써레 싣고 나온다.', '입하에 물 잡으면 보습에 개똥을 발라 갈아도 안 된다.'라는 말이 있다. 이 시기에 먹는 음식으로 쑥버무리(쑥설기)가 있다.

 

 

소만(小滿): 본격적인 농사 시작

 

 24절기 중 여덟 번째 절기. 양력 5월 21일 무렵이고, 태양이 황경 60도를 통과할 때를 말한다. 소만은 입하와 망종 사이에 들어 햇볕이 풍부하고 만물이 점차 생장하여 가득 찬다는 의미가 있다. 소만에는 씀바귀 잎을 뜯어 나물을 해먹고, 냉이나물은 없어지고 보리이삭은 익어서 누런색을 띄어 여름의 문턱이 시작되는 계절이다. 소만 무렵에는 모내기 준비에 바빠진다. 이른 모내기, 가을보리 먼저 베기, 여러가지 밭작물 김매기가 줄을 잇는다. 이때부터 여름 기분이 나기 시작하며 식물이 성장한다. 이 무렵은 '보릿고개'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양식이 떨어져 힘겹게 연명하던 시기이다. 초후를 전후하여 죽순을 따다 고추장이나 양념에 살짝 묻혀먹는 것도 별미이며, 냉잇국도 늦봄이나 초여름에 많이 먹는다. 또한 소만 때 부는 바람이 몹시 차고 쌀쌀하다는 뜻으로 '소만 바람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라는 속담이 있다.

 

 

망종(亡種): 씨 뿌리기 시작

 

 24절기 중 아홉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 소만과 하지 사이에 들며 양력으로 6월 6일 무렵으로 태양의 황경이 75도에 도달한 때이다.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는 속담처럼 망종까지 보리를 모두 베어야 논에 벼도 심고 밭갈이도 하게 된다. 이 무렵에는 보리농사가 많은 남쪽일수록 더욱 바쁘다. 그래서 '발등에 오줌 싼다.'는 말이 있을 만큼 일 년 중 가장 바쁜 시기이다. 비가 끊임없이 내리며 농가는 모내기 준비로 바쁜 것이 특징이다. 망종 때 먹는 음식으로는 호남과 충청 지역의 보리그스름이나 제주도의 보릿가루로 죽 해먹기가 있다. 요약하자면, 망종이란 벼와 같은 곡식의 종자를 뿌리기에 적당한 시기로 모내기와 보리 베기에 알맞은 때이다.

 

 

하지(夏至): 낮이 연중 가장 긴 시기

 

 24절기 중 열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 양력으로는 대개 6월 22일 무렵이다. 천문학적으로 일년 중 태양의 적위가 가장 커지는 시기이다. 태양은 황도상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하고 그 위치를 하지점(夏至點)이라고 한다. 북반구에서는 낮의 길이가 가장 길고, 태양의 남중고도가 가장 높아지는 반면, 남반구에서는 하지에 낮의 길이가 가장 짧고 태양의 남중고도가 가장 낮아진다. 우리나라를 예로 들면 정오의 태양 높이도 가장 높고, 일사 시간과 일사량도 가장 많은 날이다. 동지에 가장 길었던 밤 시간이 조금씩 짧아지기 시작하여 이날 가장 짧아지는 반면, 낮 시간은 일 년 중 가장 길어져 무려 14시간 이상이나 된다. 일 년 중 태양이 가장 높이 뜨고 낮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북반구의 지표면은 태양으로부터 가장 많은 열을 받는다. 그리고 이 열이 쌓여 하지 이후로는 기온이 상승하여 아주 더워진다.

 

 

소서(小暑): 더위의 시작

 

 24절기 중 열한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 하지와 대서 사이로 양력 7월 5일 무렵, 태양이 황경 105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소서는 '작은 더위'라 불리며, 이때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된다. 이 시기는 여름 장마철로 장마전선이 한반도 중부지방을 가로질러 장기간 머무르기 때문에 습도가 높고 비가 많이 내린다. 예전에는 하지 무렵에 모내기를 끝낸 모들이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는 시기로, 농가에서는 모를 낸 20일 뒤 소서 때에 논매기를 했다. 이 무렵은 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때여서 과일과 채소가 많이 나며, 밀과 보리도 이때부터 먹게 된다. 소서와 관련한 속담으로 '소서가 넘으면 새 각시도 모심는다.'는 말이 있다.

 

 

대서(大暑): 더위가 가장 심함

 

 24절기 중 열두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 소서와 입추 사이로 양력 7월 23일 무렵이며, 태양의 황경이 대략 120도 지점을 통과할 때이다. 우리나라에서 대개 중복(中伏) 때로, 장마가 끝나고 더위가 가장 심하다. 옛날부터 더위 때문에 '염소뿔도 녹는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이다. 대서는 중복 무렵일 경우가 많아 삼복더위를 피해 계곡이나 산정으로 피서를 가는 풍습이 있다. 종종 이 무렵 장마전선이 늦게까지 한반도에 동서로 걸쳐 있으면 큰 비가 내리기도 한다. 불볕더위, 찜통더위도 이 시기를 이르는 말이다. 무더위를 삼복으로 나누어 소서와 대서라는 큰 명칭으로 부른 것은 무더위에 대한 경각심을 깨우쳐 주기 위함이다. 이 무렵이 되면 농촌에서는 논밭의 김매기, 퇴비장만 등 농작물 관리로 바쁜 나날이 이어진다. 또한 가문 날씨로 과일의 맛이 가장 좋을 때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