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일상정보

24절기ㅣ24절기 양력ㅣ24절기 뜻ㅣ봄절기ㅣ입춘ㅣ우수ㅣ경칩ㅣ춘분ㅣ청명ㅣ곡우ㅣ24절기 달력 쉽게 알아보기

by 뉴쿱스 2023. 12. 23.
반응형

 

 여러분께서는 24절기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기후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24개의 절기가 있으며, 이 절기에 따라 농사가 이루어지고 특별히 행해지는 풍속이 생겨났습니다. 오늘은 이 24절기의 구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확한 구분일자와 내용을 아래에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24절기ㅣ24절기 양력ㅣ24절기 뜻ㅣ봄절기ㅣ입춘ㅣ우수ㅣ경칩ㅣ춘분ㅣ청명ㅣ곡우ㅣ24절기 달력
24절기 양력 24절기 뜻 봄절기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24절기란?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계절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황도에서 춘분점을 기점으로 15도 간격으로 점을 찍어 총 24개의 절기로 구분한 것

 

 

 24절기는 천구상에서 태양의 위치가 황도 0도, 15도, 30도, 45도 ~ 300도가 되는 지점을 통과하는 순간을 기준으로 구분한 것으로, 중국 주나라 때 화북 지방의 기후를 잘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기후와는 약간 차이가 날 수 있으나,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므로 양력으로는 매년 같은 날, 혹은 하루 정도의 차이을 두고 돌아옵니다. 절기를 계절에 따라 나누었을 때는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계절 절기
봄절기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여름절기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가을절기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겨울절기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입춘(立春): 봄의 시작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로 대한과 우수 사이에 있는 절기. 보통 양력 2월 4일 경에 해당한다. 태양의 황경이 315도일 때로 이날부터 봄이 시작된다. 따라서 이날을 기리고, 닥쳐오는 일년 동안 대길 · 다경하기를 기원하는 갖가지 의례를 베푸는 풍속이 옛날에는 있었으나, 근래에는 더러 대문이나 문설주에 입춘축(立春祝)을 붙이는 가정이 있을 뿐, 그 절일로서의 기능은 상실했다고 볼 수 있다. 입춘과 관련한 옛말로 "입춘에 오줌독(장독 · 김칫독) 깨진다.", "입춘 추위에 김칫독 얼어 터진다", "입춘추위는 꿔다 해도 한다.", "입춘 거꾸로 붙였나.", "가게 기둥에 입춘이라" 등이 있다.

 

우수(雨水): 봄비 내리고 싹이 틈

 

 봄에 들어선다는 입춘과 동면하던 개구리가 놀라서 깬다는 경칩 사이에 있는 24절기의 하나. 입춘 입기일 15일 후인 양력 2월 19일 또는 20일이 되며 태양의 황경이 330도 위치에 올 때이다. 음력으로는 대개 정월에 들며 우수라는 말은 눈이 녹아서 비가 된다는 말이니 이제 추운 겨울이 가고 이른바 봄을 맞게 되었다는 것이다. 속담 "우수 경칩에 대동강 풀린다", "우수 뒤에 얼음같이"는 슬슬 녹아 없어짐을 이르는 뜻으로 우수의 성격을 잘 표현해주고 있다.

 

경칩(驚蟄): 개구리 겨울잠에서 깨어남

 

 24절기 중 세 번째 절기. 유의어로 계칩이 있다. 태양의 황경이 345도에 이르는 때로 동지 이후 74일째 되는 날이다. 양력으로는 3월 5일 무렵이 된다. 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시기인 이즈음이 되면 겨울철의 대륙성 고기압이 약화되고 이동성 고기압과 기압골이 주기적으로 통과하게 되어 한난이 반복된다. 그리하여 기온은 날마다 상승하며 마침내 봄으로 향하게 된다. 우수와 경칩이 지나면 대동강물이 풀린다고 하여 완연한 봄을 느끼게 된다. 초목의 싹이 돋아나고 동면하던 벌레들도 땅속에서 나온다고 믿는다. 농촌에서는 산이나 물이 괸 곳을 찾아다니며, 몸이 건강해지기를 바라면서 개구리 알을 건져다 먹는다. 이처럼 경칩은 만물이 약동하는 시기로, 움츠려 지냈던 겨울이 끝나고 새로운 생명력이 소생하는 절기라고 표현할 수 있다.

 

춘분(春分): 낮이 길어지기 시작

 

 24절기의 네 번째 절기. 경칩과 청명의 중간에 드는 절기로 양력 3월 21일 전후, 음력으로는 2월 무렵이다. 이날 태양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향하여 적도를 통과하는 점, 곧 황도와 적도가 교차하는 점인 춘분점에 이르렀을 때, 태양의 중심이 적도 위를 똑바로 비추어, 양이 정동에 음이 정서에 있으므로 춘분이라 한다. 이날은 음양이 서로 반인만큼 낮과 밤의 길이가 같고 추위와 더위가 같다. 이 절기를 전후하여 농가에서는 봄보리를 갈고 춘경을 하며 담을 고치고 들나물을 캐어먹는다. 춘분과 관련된 속담으로는 "이월 바람에 검은 쇠뿔이 오그라진다.", "꽃샘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 등이 있다.

 

청명(淸明): 봄 농사준비

 

 양력 4월 4일 또는 5일로 24절기의 다섯 번째 절기. 태양의 황경이 15도에 있을 때이다. 이날은 한식(寒食) 하루 전날이거나 같은 날일 수 있으며, 춘분과 곡우 사이에 있다. 중국에서는 청명 15일 동안을 5일씩 3후로 나누어 초후에는 오동나무의 꽃이 피기 시작하고, 중후에는 들쥐 대신 종달새가 나타나며, 말후에는 무지개가 처음으로 보인다고 하였다. 청명이란 단어 그대로 날씨가 좋은 날이고, 날씨가 좋아야 봄에 막 시작하는 농사일이나 고기잡이 같은 생업 활동을 하기에도 수월하다. 곳에 따라서는 손 없는 날이라고 하여 특별히 택일을 하지 않고도 이날 산소를 돌보거나, 묘자리 고치기, 집수리 같은 일을 한다. 이러한 일들은 봄이 오기를 기다리면서 겨우내 미루어두었던 것들이다. 

 

곡우(穀雨): 농사비가 내림

 

 24절기의 여섯 번째 절기. 청명과 입하 사이에 있으며, 양력 4월 20일 무렵에 해당한다. 곡우란 봄비가 내려 백곡을 기름지게 한다는 뜻으로, 이 무렵이면 못자리를 마련하는 것부터 본격적으로 농사철이 시작된다. 관련 속담으로는 "곡우에 모든 곡물들이 잠을 깬다.", "곡우에 비가 오면 농사에 좋지 않다.", "곡우가 넘어야 조기가 운다.",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자가 마른다." 등이 있다. 곡우가 되면 농사에 가장 중요한 볍씨를 담그고 볍씨를 담아두었던 가마니는 솔가지로 덮어두는데, 이는 부정한 사람이 볍씨를 보거나 만지게 되면 싹이 잘 트지 않아 그 해 농사를 망친다고 믿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