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일상정보

24절기ㅣ24절기 뜻ㅣ겨울절기ㅣ입동ㅣ소설ㅣ대설ㅣ동지ㅣ소한ㅣ대한ㅣ24절기 달력ㅣ기후ㅣ음식ㅣ속담 쉽게 알아보기

by 뉴쿱스 2023. 12. 24.
반응형

 

 전통 농경사회에서 자연 현상에 의한 기후의 변화는 매년 농사에 매우 중요했으며 정확해야 했습니다. 그래서 태양력을 이요용한 이른바 24절기가 활용되었습니다. 음력이 윤달을 두어서 한 달씩 날짜가 밀릴 수 있다는 점에 비해서, 24절기는 계절의 추이를 정확히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렇게 24절기를 주로 사용하였던 우리의 재래 역법은 순수한 음력이라기보다 태음태양력이라 할 수 있습니다.

 

24절기ㅣ24절기 뜻ㅣ겨울절기ㅣ입동ㅣ소설ㅣ대설ㅣ동지ㅣ소한ㅣ대한ㅣ24절기 달력ㅣ기후ㅣ음식ㅣ속담
24절기ㅣ24절기 뜻ㅣ겨울절기ㅣ입동ㅣ소설ㅣ대설ㅣ동지ㅣ소한ㅣ대한ㅣ24절기 달력ㅣ기후ㅣ음식ㅣ속담

 

입동(立冬): 겨울 시작

 

 24절기 중 열아홉 번째 절기. 이때부터 겨울이 시작된다고 하여 입동이라고 한다. 태양의 황경이 225도일 때이며, 야ㅇ력으로 11월 7일 또는 8일 무렵이다. 서리가 내린다는 상강 후 약 15일, 첫눈이 내린다는 소설 전 약 15일에 든다. 중국에서는 입동 후 5일 씩을 묶어 3후로 삼았다. 초후에는 비로소 물이 얼기 시작하고, 중후에는 처음으로 땅이 얼어붙으며, 말후가 되면 꿩은 드물어지고 조개가 잡힌다고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입동을 겨울로 들어서는 날로 여겼기 때문에 사람들은 겨울채비를 하기 시작한다. 입동 즈음에는 동면하는 동물들이 땅 속에 굴을 파고 숨으며, 산야에 나뭇잎은 떨어지고 풀들은 말라간다. 대개 전국적으로 입동에 날씨가 추우면 그해 겨울이 크게 추울 것이라고 믿는다. 

 

 

소설(小雪): 얼음이 얼기 시작

 

 24절기 중 스무 번째 절기. 이날 첫눈이 내린다고 하여 소설이라고 한다. 태양의 황경이 240도일 때이며, 양력으로 11월 22일 또는 23일 무렵이다. 중국에서는 소설 후 5일씩을 묶어 3후로 삼았다. 초후에는 무지개가 걷혀서 나타나지 않고, 중후에는 천기는 오르고 지기는 내리며, 말후에는 폐색되어 겨울이 된다고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소설에 눈이 내릴 정ㄷㅗ로 추위가 시작되기 때문에 겨울 채비를 한다. 그러나 한겨울에 든 것은 아니고 아직 따뜻한 햇살이 비치므로 소춘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때는 평균 기온이 5도 이하로 내려가면서 첫 추위가 온다. 소설은 날씨가 급강하하는 계절이기에 사람들은 소설 전에 김장을 하기 위해 서두른다. '소설 추위는 빚을 내서라도 한다.'는 속담이 있는데 소설에 날씨가 추워야 보리농사가 잘 되기 때문이다.

 

 

대설(大雪): 겨울 큰 눈이 옴

 

 24절기 가운데 스물한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 양력으로 12월 7일이나 8일 무렵에 해당하며 태양의 황경은 255도에 도다ㄹ한 때이다. 소설에 이어 대설은 눈이 가장 많이 내린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지만, 기준지점인 중국 화북지방(華北地方)의 계절적 특징을 반영한 절기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경우 반드시 이 시기에 적설량이 많다고 볼 수는 없다. 특히 24절기 중 대설이 있는 음력 11월은 동지와 함께 한겨울을 알리는 절기로 농부들에게 있어서 일년을 마무리하면서 새해를 맞이할 준비를 하는 농한기(農閑期)이기도 하다. 이 시기는 한겨울에 해당하며 농사일이 한가한 시기이고 가을 동안 수확한 피땀 어린 곡식들이 곳간에 가득 쌓여 있는 시기이기 때문에 당분간은 끼니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 풍성한 시기이다.

 

 

동지(冬至): 밤이 연중 가장 긴 시기

 

 24절기의 스물두 번째 절기. 일년 중에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동지는 태양이 황경 270도의 위치에 이ㅆ을 때이다. 그래서 양력 12월 22일이나 23일 무렵에 든다. 민간에서는 동지를 흔히 아세(亞歲) 또는 작은설이라 하였다. ㅌㅐ양의 부활이라는 큰 의미를 지니고 있어서 설 다음가는 작은설로 대접하는 것이다. 이 관념은 오늘날에도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또는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라는 말처럼 동지첨치의 풍속으로 전하고 있다. 또 동지는 날씨가 춥고 밤이 길어 '호랑이장가 가는 날'이라고도 부른다. 동지에는 동지팥죽을 먹는데, 팥을 고아 죽을 만들고 여기에 찹쌀로 만든 단자를 넣어 끓인다. 단자는 새알만한 크기로 하기 때문에 새알심이라 부른다. 

 

 

소한(小寒): 겨울 중 가장 추운 때

 

 24절기 가운데 스물세 번째 절기로 '작은 추위'라는 뜻의 절기. 양력 1월 5일 무렵이며 황경이 285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절기의 이름으로 보면 소한 다음 절기인 대한 때가 가장 추워야 하지만, 실제 우리나라에서는 소한 무렵이 가장 춥다. 우리나라에서 일 년 중 가장 추운 시기가 양력 1월 15일 무렵이다. 그래서 '대한이 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죽는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소한 추위가 맵다. 그러나 추위를 이겨냄으로써 어떤 역경도 감내하고자 했던 까닭으로 '소한의 추위는 꾸어다가도 한다.'라고도 했다. 소한은 해가 양력으로 바뀌고 처음 나타나는 절기이며, 정초한파라 불리는 강추위가 몰려오는 시기이기에 농가에서는 소한부터 입춘 전까지 약 한 달 간 혹한(酷寒)에 대비해 만반의 분비를 해둔다. 눈이 많이 내리는 지방의 겨ㅇ우 문밖 출입이 어려우므로 땔감과 먹을거리를 집안에 충분히 비치해두었다.

 

 

대한(大寒): 겨울 큰 추위

 

 24절기 가운데 마지막 스물네 번째 절기로 '큰 추위'라는 뜻의 절기. 양력 1월 20일 무렵이며 태양이 황경 300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원래 겨울철 추위는 입동에서 소설, 대설, 동지, 소한으로 갈수록 추워진다. 소한 지나 대한이 일 년 중 가장 춥다고 하지만 이는 중국 기준이며, 우리나라에서는 다소 사정이 달라 소한 무렵이 가장 춥다.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 '소한의 얼음이 대한에 녹는다.'라는 속담이 있듯이 대한이 소한보다 오히려 덜 춥다. 제주도에서는 대한 후 5일에서 입춘 전 3일까지 약 일주일 간 신구간(新舊間)이라 하여, 이사나 집수리를 비롯하여 집안 손질과 행사를 해도 큰 탈이 없다고 알려져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