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일상정보

직계존속ㅣ직계비속ㅣ촌수ㅣ촌수계산법ㅣ촌수 호칭ㅣ촌수관계ㅣ친족 호칭ㅣ칭호 쉽게 알아보기

by 뉴쿱스 2023. 12. 25.
반응형

 

 법정, 부동산, 병원 등에서 서류를 작성하거나 발급할 때 직계존속, 직계비속이라는 용어를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한자어이고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지 않는 단어라 범위를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오늘은 직계존속과 직계비속 및 친족, 촌수, 촌수별 호칭에 대해 정확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헷갈리는 부분을 잘 체크하시어 혼동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직계존속ㅣ직계비속ㅣ촌수ㅣ촌수계산법ㅣ촌수 호칭ㅣ촌수관계ㅣ친족 호칭ㅣ칭호
직계존속ㅣ직계비속ㅣ촌수ㅣ촌수계산법ㅣ촌수 호칭ㅣ촌수관계ㅣ친족 호칭ㅣ칭호

 

 

친족(親族)

 

 친족(親族)혼인과 혈연을 기초로 하여 상호간에 관계를 가지는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법률상 의미가 있는 친족의 범위는 사회 통념상 친족 그대로가 아닌 법률적 목적에 따라 일정한 범위 내로 제한된다. 민법 제777조는 친족의 범위를 8촌 이내의 혈족, 4촌 이내의 인척, 배우자로 규정하고 있다.  

 

 

직계(直系)

 

 민법 제768조에서는 자기의 직계존속과 직계비속직계혈족이라 하고 자기의 형제자매와 형제자매의 직계비속, 직계존속의 형제자매 및 그 형제자매의 직계비속방계혈족이라 한다. 직계는 혈연이 친자 관계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이어져 있는 계통. 수직적인 혈통 관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직계에는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 당신, 자녀, 손자녀 등이 해당된다. 직계 외의 관계는 모두 방계(傍系)로, 본인의 형제자매가 여기 해당한다. 형제자매는 부모를 통해 간접적으로 이어진 관계이기 때문에 직계가 아닌 방계에 속한다

 

 

촌수(寸數)

 

촌수친족 사이의 멀고 가까움을 나타내기 위한 숫자체계로, 호칭이란 해당 촌수에 맞는 이름을 부르는 것이다. 촌수는 '손의 마디'라는 뜻으로 친등(親等)이라고도 하며 촌수가 적을수록 근친임을 나타낸다.

 

 촌수 계산부모와 할아버지 등 직계가족이 기준이 되며 이후 방계 쪽으로 1촌씩 더하면 된다. 부부간은 무촌, 부모와 자녀 간은 1촌, 형제 · 자매간은 2촌이나 일반적으로 방계혈족 사이에서는 촌수를 쓰지 않는다. 직계혈족간에 촌수를 따지는 것은 의미가 없으며, 실제로도 촌수를 사용하지 않고 세(世)나 대(代)를 쓴다. 다시 말해, 한 대가 올라갈수록 1촌을 더하는 촌수 계산법은 방계친족 간에 사용하며 직계혈족에게는 사용하지 않는다. 부부는 핏줄로 연결된 관계가 아니라 서로 다른 남남이 만나 이루어진 관계이므로 촌수가 없는 무촌이다.

 

촌수 친족
1촌 부모(아버지, 어머니)
2촌 형제 · 자매
3촌 백부(큰아버지), 숙부(작은아버지), 고모 · 이모 · 외삼촌 · 질(조카), 생질(여형제의 자식), 이질(여형제끼리의 자식)
4촌 종형제(사촌), 내종형제(고종사촌), 외종형제(이종사촌), 종조(할아버지 형제), 대고모(할아버지 여형제),
외증조(외할아버지 형제)
5촌 종숙(종조의 자식), 내종숙(대고모의 자식), 외종숙(외종조의 자식), 내종질(사촌조카)
6촌 내재종형제(고종형제, 내종숙의 자식), 내재종손(내종질의 자식), 재종손(종질의 자식), 재종형제(종백숙부의 자식)
7촌 내재종질(내재종형제의 자식), 재종질(재종형제의 자식), 외내재종질(외내재종형제의 자식),
외재종질(외재종형제의 자식)
8촌 내삼종손(내재종질의 자식), 삼종손(재종질의 자식), 외내삼종손(외내재종질의 자식), 외삼종손(외재종질의 자식)

 

 

 친족 호칭으로는 조(組), 숙(叔), 형(兄), 질(姪), 손(孫) 등의 세대를 표시한다. 조(組)할아버지와 같은 항렬을 나타내며, 숙(叔)부모, 형(兄), 질(姪)나의 자녀, 손(孫)나의 손자와 같은 항렬을 의미한다.

 

친족 호칭 친족 친족 호칭 친족
증조할아버지 아버지의 할아버지 증조할머니 아버지의 할머니
할아버지 아버지의 아버지 할머니 아버지의 어머니
큰아버지(백부, 伯父) 아버지의 형 큰어머니(백모, 伯母) 아버지의 형수
작은아버지(숙부, 叔父) 아버지의 동생 작은어머니(숙모, 叔母) 아버지의 제수
사위 딸의 남편 며느리 아들의 아내
형수(兄嫂) 형의 부인 제수(弟嫂) 아우의 아내
매형(妹兄) 누이의 남편 매제(妹弟) 누이동생의 남편
당숙(堂叔)[종숙] 아버지의 사촌형제    
당숙모(堂叔母)[종숙모] 아버지 사촌의 부인    

 

친족 호칭 친족 친족 호칭 친족
종조부 할아버지의 남자형제 종조모 할아버지의 형수, 제수
대고모 할아버지의 여자형제 대고모부 할아버지의 매형, 매제
재당숙(再堂叔)[재종숙] 아버지의 육촌형제 종수(從嫂) 아버지의 조카며느리
재당숙모(再堂叔母)
[재종숙모]
아버지 육촌의 부인 재종수(再從嫂) 당숙의 며느리
종형제(從兄弟) 아버지의 조카 조카 며느리(질부) 형, 아우 아들의 아내
재종형제(再從兄弟) 당숙의 아들 종손(從孫) 조카의 아들
조카 형, 아우의 자식 재종손(再從孫) 사촌의 손자
당질(堂姪)[종질] 사촌의 아들    
당질부(堂姪婦) 사촌 아들의 아내    

 

 

※ 아내가 부르는 가족호칭법

 도련님, 아가씨 와 같은 구시대적인 호칭 대신 '이름+씨'로 부르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배우자의 부모님을 아버님/아버지, 어머님/어머니로 부르고 자녀의 조부모도 할아버지/할머니로 불러 민주적이고 평등한 호칭을 사용하자는 제안이 나오고 있다.

 

 

※ 남편이 부르는 가족호칭법

 남편이 아내의 오빠보다 나이가 많을 경우 남편은 아내의 오빠를 형님이 아닌 처남으로 호칭한다. 아내 언니의 남편일지라도 남편보다 나이가 어릴 경우 남편은 형님이 아닌 동서로 호칭한다.

반응형